자존심 끝판왕...
그럼 그들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등장합니다. 예를 하나 들어보지요. 중남미 국가들은 자존심이 무척 강합니다. 뭐 자존심 없는 사람이 어디 있고 자존심 없는 나라가 어디 있냐고 말할 수 있겠지만 라틴아메리카 사람들은 특이한 형태로 자존심이 강합니다. 아니, 따지고 보면 우리가 워낙 외교 면에서 자존심이 없다 보니 상대적으로 그들이 자존심이 강한 것으로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그들의 특이성, 특히 자존심을 이해하는 것이 그들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유럽의 블록화에 따라 미국을 주축으로 아메리카 대륙을 블록화(FTAA)하려고 하지만 미국은 라틴아메리카의 자존심과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에 걸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중남미를 완전히 자신들의 손아귀에 넣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국이라면, 미군이라면 그냥 고개 숙이는 그런 사람들이 아닙니다. 라틴아메리카는 미국에 절대 충성하지 않을뿐더러 늘 적당히 버팅기는 것을 좋아합니다.
미국이 국제 무역의 힘을 이용하여 쿠바를 경제 봉쇄할 목적으로 만든 헴스버튼(Helms Burton) 법안에 대항합니다. 멕시코가 석유 지원을 해주는 등 경제 협력을 강화하며 보여준 중남미의 자존심이 있습니다. 미국이 쿠바를 경제 봉쇄 조치하고 쿠바에게 협력하는 나라들은 모두 박살 내버리겠노라고 으름장을 놓았습니다. 이것을 멋있는 말로 바꾸면 쿠바와 통상 무역을 하는 기업체는 미국과의 어떠한 경제 관계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미국에서 이 법안이 통과하기가 무섭게 멕시코 정부는 경제적 불이익을 감수하고라도 미국 눈치 안 보고 가장 중요한 경제 물자 가운데 하나인 석유를 쿠바에 공급해줍니다. 국민은 국민대로 민간차원에서 구호물자를 보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상상하기도 힘든 일이 벌어지는 것을 보고 필자는 “아! 이것이 주권 국가의 자존심이구나.”라는 생각에 한없이 부러워했습니다.
중남미는 우리의 습관화된 기본 외교와 정치 패턴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깊이 있는 공부를 통해서만이 그들을 이해하고 협력을 이끌어 갈 수 있습니다.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이해와 연구가 필요합니다.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라는 매우 제한되고 일차적인 목적에 부응하기 위해서라도 88년 이전의 접근 방식이 아닌 좀 더 심도 있는 접근을 해야 합니다. 그러한 새로운 이해 방식의 시작이 기존의 미국식, 또는 서양식 라틴아메리카 이해 방식의 탈피입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좀 더 자세히 따져보겠습니다.
'글로벌 라틴아메리카(역사 일반) > 제1장 돈 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장, 여섯: 국가의 수도 외우기는 이제 그만 (1) | 2023.03.09 |
---|---|
제 1장, 다섯: 쌍팔년은 이제 그만 (0) | 2023.03.09 |
제 1장, 넷: 문화는 돈이다. (1) | 2023.03.09 |
제 1장, 셋: 한국이 잘 살려면 ‘라틴아메리카’ (2) | 2023.03.09 |
제 1장, 둘: 잘 이용해 먹어야 하는 라틴아메리카? (1)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