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게 봐 보자.
지금까지의 이야기들을 통해서 문화의 차이를 우등과 열등으로, 야만과 문명으로 나누고 라틴아메리카 사람들은 열등한 야만인으로, 그리고 서양과 한국 사람들은 우등한 문명인으로 생각하는 우리의 주변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나 라틴아메리카 사람들의 행복 지수에서 보는 것처럼 어떤 것이 우등하고 어떤 것이 열등한 것인지에 대한 기준은 애매합니다. 우리가 만원을 받는데 그들은 중남미 국적을 가진 사람이라는 이유만으로 500원을 받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사람들은 라틴아메리카 사람들을 한 차원 낮게 보고 업신여기는 분위기입니다. 라틴아메리카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의 노사 관계를 통해 우리가 현실에서 많이 접하는 문화 접촉 현상에서 그러한 점들을 관찰해 보았습니다.
문화에서 열등과 우등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없습니다. 동의하시나요?^^ ~~ 야만과 문명을 나누는 것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오히려 이러한 차별이야말로 가장 야만스럽고 비문명화된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차등의 역사가 엄연히 존재했고, 지금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우리는 싫든 좋든 그것들을 접하게 되고, 의식 무의식으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차등의 배경에 서양 사람들의 패권주의, 식민지주의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와 배경으로 형성된 이미지를 고정관념으로 갖고 우리와 라틴아메리카와의 만남에서 서양의 가치관을 그대로 비판 없이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큰 벽을 마주하게 됩니다. 두 가지 면에서 큰 손실을 당하게 될 것입니다.
첫 번째, 라틴아메리카와의 경제 협력 관계에서 동반자가 아닌 침략자 분위기를 가지고 간다면 우리로서는 백전백패할 것입니다.
두 번째, 인류사적인 측면에서 라틴아메리카 사람들의 긍정적인 면을 이해하려 하지 않고 무엇이든 부정적으로 바라봄으로써 그들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하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어쭙잖은 서양의 식민주의 역사관과 가치관을 답습하는 것은 그야말로 꼴불견일 뿐만 아니라 부당하며 우리에게 이득이 되는 것도 하나 없습니다.
'글로벌 라틴아메리카(역사 일반) > 제3장 돈 안되는...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3장, 일곱: 낮잠 자는 나라의 루벤과 로사 (0) | 2023.03.30 |
---|---|
제 3장, 여섯: 연애 소설 읽는 노인 (0) | 2023.03.30 |
제 3장, 다섯: 라틴아메리카 사람들에게 무슨 훌륭한 것이 있나? (0) | 2023.03.30 |
제 3장, 넷: 500원과 10,000원 (0) | 2023.03.30 |
제 3장, 셋: ‘담배 빵’을 아시나요? (0)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