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질 찌질 유럽
1492년 이전의 유럽은 참 많이도 미화되어 있습니다. 이는 마치 가난뱅이가 갑자기 벼락부자가 된 상황입니다. 이제는 떵떵거리며 잘 살게 되니 그 이전에 못살았던 때가 미화된 것이지요. 즉 1492년 이전의 유럽은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유럽보다도 훨씬 암울한 곳이었습니다. 경제, 사회, 문화, 예술, 종교적인 모든 면에서 그랬습니다.
정치 군사적으로 유럽은 몽골에 시달리며 큰 공포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몽고의 칭기즈칸이 얼마나 유럽 사람들에게 큰 트라우마를 남겨 줬는지는 여러 정황이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유럽의 최정예 부대들을 격파한 테무진의 군사들은 자국의 상황으로 인하여 자진해서 물러갔고 더는 기댈 곳이 없었던 유럽은 기적적으로 겨우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습니다.
아랍사람들에 대한 군사적인 실패도 유럽에게는 항상 열등감으로 남을 수밖에 없는 요소였습니다. 그 유명한 십자군전쟁을 통해 유럽은 모든 군사력을 총동원하고도 뼈아픈 패배를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유럽 기독교의 성지이자 무역의 관문인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의 함락은 십자군과 유럽인들에게 돌이킬 수 없는 트라우마를 남깁니다. 군사적인 면에서 몽고, 아랍 등의 동양과 대결해서 번번히 고통을 겪었던 것이지요. 그나마 이베리아 반도에서 에스빠냐가 수백년에 걸친 항쟁을 통해 이슬람 사람들을 몰아낸 것이 자신감을 조금 아니마 회복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기술적인 분야는 더욱 할 말이 많습니다. 이미 앞에서 마야 문명의 과학에서 ‘0’의 개념을 이야기하며 로마숫자와 아라비아 숫자의 차이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에 대하여 언급하였습니다. 11세기 말에서 13세기 말에 이르는 십자군 전쟁을 통하여 유럽은 과학기술면에서 미개함을 벗어날 수 있는 단초를 만들게 됩니다. 항해술과 관련하여 기존까지 사용해 오던 사각돛의 한계를 이해하게 되고 처음으로 삼각돛을 아시아로부터 배워오게 됩니다. 삼각돛은 동양에서 이미 10세기 이전부터 사용하였습니다. 반면 사각돛은 많은 한계가 있었습니다. 빠른 방향 전환 불가능, 역풍에서의 사용 불가능과 같은 한계를 가졌죠. 그런데 삼각돛을 사용함으로써 극적인 변화가 생긴 겁니다. 항해 분야에 있어서 가히 게임체인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동양으로부터 삼각돛의 원리를 배워오기 전의 유럽은 인력에 의한 노젖기에 의존였습니다. 순풍이 아닌 경우 아예 출항조차 못 하는 경우도 있었죠. 그런데 삼각돛을 알게 되면서 노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배를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던 것이죠. 노를 질 사람이 필요하지도 않았으며 노를 거치하고 운영할 공간도 필요가 없었습니다. 노를 질 사람들이 먹을 식량 등과 같은 것까지도 다 따져보면 이것이 얼마나 획기적인 변화인가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상황이 이러니 그 이전의 유럽이라는 곳의 항해 기술이 얼마나 열악한 것이었는지를 쉽게 짐작해 볼 만 합니다. 사실 대항해를 가능하게 한 건 유럽의 개척 정신이니 뭐니 이런 것보다도 동양에서 그들에게 전해준 항해술에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어디 이뿐입니까. 이제까지 단 한 개의 돛대를 사용하던 유럽의 선박이 다수의 돛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십자군 전쟁을 통해서 터득하게 됩니다. 더 자세한 이야기를 하지 않아도 돛을 매다는 돛대가 하나인 배와 몇 개인 배의 속도와 조타 능력이 얼마나 차이가 날지는 충분히 짐작이 갈 만합니다. 여기에 더하여 나침반, 해도, 조선 등의 기술을 동양에서 배워옴으로써 그야말로 미개하다는 말이 가능할 정도로 수준 이하이던 유럽의 항해 도구와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한두 가지 더 말해볼까요. 해도와 나침반이 없던 유럽에는 대서양으로 계속 나가면 세상의 끝이 나오고 거기에 큰 괴물이 입을 벌리고 있을 것이라고 믿었던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망망대해에 나가서 해도도 없고 나침반도 없는 상황에서 어디가 어딘지 알 수도 없어 다시 원점으로 돌아올 방법 자체를 몰랐습니다. 하늘에 별이나 태양이 뜨는 지점을 보고 방향을 알 수는 있지만 구름이 낀 날은 난감한 일이지요. 그래서 이전까지 유럽 사람들은 육지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항해 자체를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렇게 되면 바로 방향을 잃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육지가 보이지 않는 곳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다가 이런 미개한 유럽에 다양한 동양의 획기적이고 수준 높은 기술들이 들어오게 된 것이지요. 그야말로 센세이션했습니다.
이렇게 찌질한 유럽의 현실은 음식에서도 잘 나타납니다. 동양의 향신료는 당대 유럽의 최고 상품이었습니다. 로마가 이집트를 정복한 이후부터 후추와 계피가 사용되어 상당히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1세기 로마의 박물학자인 플리니우스Plinius는 “후추같이 영양도 아무것도 없는 것 때문에 매해 5,000만 세스루티우스의 돈을 유출하고 있다”라고 개탄할 정도였습니다. 냉장고가 없던 시절 마른고기 등을 그냥 먹기에는 맛이 없었는데 후추와 같은 식품은 썩은 냄새를 없애 주는 등 약품의 효과와 미약으로써의 기능을 주었던 것입니다. 유럽은 육류 소비가 많았는데 프랑스 지역만 하더라도 1년에 양 20만 마리, 소 2만 마리를 소비하였을 정도입니다. 그러니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되고 이들이 동양과 무역을 하고 싶은, 동양의 것을 배우고 싶은 욕망이 얼마나 컸을 것이냐는 것을 잘 알 수 있습니다. 찌질한 유럽이 동양에 대한 무한한 사랑을 거둘 수가 없었던 것이지요. 이것이 바로 1492년 지리상의 발견이라고 하는 사건의 큰 배경이 됩니다.
'글로벌 라틴아메리카(역사 일반) > 제6장 유럽의 정복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6장, 일곱: 도둑놈이 쓴 역사 (0) | 2023.05.31 |
---|---|
제 6장, 여덟: 도둑놈이 주인이 되어 (0) | 2023.05.31 |
제 6장, 열: 콘스탄티노플 1492가 되다 (0) | 2023.05.31 |
제 6장, 열 하나: 인류 역사 최고의 사건: 1492년 (0) | 2023.05.31 |
제 6장, 열 둘: 후추 팔아 부자되고 싶어요 (0) | 2023.05.31 |